전체 글53 신닌기아 카디널리스(Sinningia cardinalis), 단애의여왕 신품종! 단애의 여왕은 브라질의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다육식물입니다. 단애(斷崖), 즉 깎아 세운 듯한 낭떠러지에서 아름다운 여왕 같은 꽃을 피우는 식물이라 이렇게 이름 지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단애의 여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 목차 ] 1. 단애의 여왕(신닌기아 레우코트리차, 브라질 에델바이스) 단애의 여왕은 외국에서의 정식 명칭이 신닌기아 레우코트리차(Sinningia leucotricha)입니다. '고귀한 사랑, 소중한 추억, 용기'라는 꽃말을 가진 알프스의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에델바이스(Edelweiss)와 비슷해 보여서 브라질 에델바이스(Brazilian Edelweiss)라고도 부릅니다. 구근은 편평한 편이고 직경 30cm까지 자랍니다. 잎은 15cm까지 자라기도 하는데, 잎과 줄기에 은백색 털로 .. 2023. 6. 13. 흰진달래,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토종 진달래 안녕하세요! 보석이네 정원입니다. 오늘은 진달래 중에서도 흰색 꽃을 피우며 추위에 강한 내성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 토종 흰진달래를 소개합니다. [ 목차 ] 1. 진달래와 철쭉의 구분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식물은 진달래와 철쭉입니다. 둘 다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데, 진달래는 잎이 나기 전에 먼저 꽃을 피우고, 철쭉은 잎과 꽃이 같이 피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진달래의 꽃은 식용이 가능하지만, 철쭉의 꽃은 먹을 수 없습니다. 진달래가 4월에 먼저 꽃을 피우며, 철쭉은 5월에 피기 시작합니다. 2. 우리나라 토종 흰진달래 소개 흰진달래는 산림청에서 1997년에 멸종 위기 식물로 지정하여 보호할 정도로 군락지가 많이 사라져 보기 힘들었는데 최근에 자생 군락지가 많이.. 2023. 6. 8. 금시초, 일본에서 장수식물로 유명한 다년생식물! 안녕하세요! 보석이네 정원입니다. 금시초(金時草)라고 들어보셨나요? 우리나라에서는 별로 인지도가 없는 식물인데 일본에서는 이미 함유된 성분만으로 장수식물로 인정받는 유명한 다년생식물입니다. 오늘은 일본에서 넘어온 귀한 금시초를 소개합니다. [ 목차 ] 1. 금시초란? 금시초는 동남아시아가 원산인 아열대식물이며, 명월초와 같은 국화과 다년생식물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노지월동이 어렵습니다. 잎의 겉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선명한 보라색을 띱니다. 정식명칭은 수전사채(水前寺菜, 스이센지나)이며, 학명은 Gynura bicolor입니다. 일본에서는 19세기부터 재배하기 시작하였고 장수식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2. 금시초의 성분과 효능 금시초 잎의 뒷면이 보라색으로,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강력한 항.. 2023. 6. 7. 윌슨만병초, 짙은 녹색과 자주색의 조화가 아름다운 만병초 안녕하세요! 보석이네 정원입니다. 오늘은 짙은 녹색 잎과 자주색 꽃이 잘 어울려 서양에서 조경수로 사랑받는 윌슨만병초를 소개합니다. [ 목차 ] 1. 만병초란? '위엄', '존엄'이라는 꽃말을 가진 만병초는 잎이 사계절 내내 푸른 상록 관목이며, 진달래과(Ericaceae)의 한 속(屬, genus)에 해당하는 진달래속(Rhododendron) 식물을 이르는 말입니다. 만병초의 '로도덴드론 Rhododendron'은 그리스어로 장미를 뜻하는 'rhodos'와 나무를 뜻하는 'dendron'이 결합하여 장미와 같이 아름다운 꽃이 핀다는 뜻으로 '장미나무', 즉 '매우 아름다운 나무'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2. 윌슨만병초(윌스니만병초, 윌슨품종만병초) 우리 나라에는 울릉도만병초(홍만병초), 백두산의 노.. 2023. 6. 1. 대만만병초, 꽃이 크고 화려한 만병초 안녕하세요! 보석이네 정원입니다. 오늘은 꽃이 크고 화려하면서 추위에도 강한 대만만병초를 소개합니다. [ 목차 ] 1. 대만만병초란? 세계 곳곳에 자생하는 만병초는 정말 다양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꽃이 화려하고 큰 사이즈가 특징인 대만만병초를 소개합니다. 대만만병초는 대만산만병초, 미소만병초, 미소두견, 아카보시만병초, 하이페리슘만병초, 히페리트룸만병초 등 여러가지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대만만병초의 특징 커다란 백색 꽃이 아름답고 화려한 대만만병초는 대만의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 만병초입니다. 학명은 Rhododendron Hyperythrum Hayata 입니다. 일본인 식물학자가 1913년에 처음 발견해서 이름 붙였습니다. 중국에서는 미소두견이라고 부르고 대만에서는 남호두견, 남호대산두견.. 2023. 6. 1. 취설송, '관용'이라는 꽃말을 가진 다육식물 남아프리카에서 온 취설송이란 다육식물을 소개합니다. 이번에 새롭게 분양받아 아파트에서 키우려고 하는데 이참에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관용'이라는 꽃말을 가진 취설송은 아래 사진처럼 아름다운 자태를 자랑하는 다육식물입니다. [ 목차 ] 1. 취설송의 특징 취설송은 열대성 다육식물로 학명은 Anacampseros rufescens입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취설송은 생장점에서 하얀 털이 나오는데 이는 병에 걸린 것이 아니라 병충해에 대해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입니다. 생장점에 가까운 부분은 분홍색으로 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 부분은 일교차가 커지면 더욱 선명해 집니다. 일반적으로 꽃은 일조량이 많아야 피울 확률이 높은데 위키백과에서 찾은 꽃 사진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번에 분양한 취설송도 꽃을.. 2023. 5. 29. 비레야만병초, 사계절 꽃을 피우는 만병초 약 2만 종이 넘는 다양한 만병초가 세계 곳곳에 자생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꽃이 정말 아름다운 비레야만병초를 소개합니다. 뉴질랜드만병초라고도 하는데 조건만 맞으면 사계절 꽃을 피우는 종입니다. [ 목차 ] 1. 비레야만병초의 특징 비레야만병초(Rhododendron sect. Vireya)는 태국, 말레이시아, 동남아시아, 호주, 뉴질랜드 등 비교적 따뜻한 곳에서 적응하여 자생하는 진달래과의 열대상록 관목입니다. 그래서 조건만 맞으면 일 년에 3번 이상 개화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비레야사계만병초라고도 합니다. 꽃이 참 예쁜데 아래 사진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주황색 혹은 분홍색 계열의 꽃을 피웁니다. 처음 비레야 만병초를 봤을 때 만병초인지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일반적인 만병초 꽃과 달랐으며 풍성한.. 2023. 5. 28. 울릉도만병초(홍만병초), 우아하고 고귀한 꽃을 피우는 만병초 안녕하세요! 보석이네 정원입니다. 오늘은 우아하고 고귀한 꽃을 피우는 만병초인 울릉도만병초(홍만병초)를 소개합니다. [ 목차 ] 1. 울릉도만병초(홍만병초) '위엄', '존엄'이란 꽃말을 갖고 있는 만병초는 최대 4미터 까지 자라는 쌍떡잎식물이며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상록관목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2만 종이 넘는 만병초가 자생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토종 만병초인 울릉도만병초를 소개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해서 식용금지식물로 지정되어 있지만 중국과 일본은 여전히 식용 약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꽃만큼이나 요긴한 울릉도만병초를 알아봅니다. 2. 울릉도만병초의 특징 만병초는 고무나무와 닮았고, 꽃이 철쭉과 비슷하여 천상초, 뚜깔나무, 만년초, 풍엽.. 2023. 5. 14. 이전 1 ··· 3 4 5 6 다음